봉고3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 트럭 워셔액주입구

이따금씩 회사차 봉고3 트럭을 운행하고 있는데, 봄철 송화가루 등으로 인해 앞유리를 워셔액으로 닦아줘야 할 것 같습니다.

2018년에 구입한 이 트럭은 이제 갓 3만키로를 달린 새차인데, 그 동안 워셔액을 단 한번도 주입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어제 알게 됐습니다.

이 글을 통해 봉고3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승용차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봉고3 워셔액 보충방법

운전병 출신으로서 어쩌다 한 번 쯤은 스틱의 즐거움이 생각나기도 하는데, 이럴 때 회사트럭 봉고3를 한 번씩 몰면 재밌습니다.

빠듯한 시간에 회사트럭까지 관리를 해가며 탈 수는 없기에, 여느 회사차가 다 그렇듯 지저분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며칠 전 화물을 보내려 나가는 길에 지저분한 유리를 닦으려 워셔액을 켰지만 반응이 없었습니다. 잔량은 안봐도 뻔하겠죠.

봉고3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 트럭 워셔액주입구_1

봉고3 워셔액은 차량을 기준으로 전면부 후드를 열고 워셔액통에 부어넣는 간단한 일입니다만, 승용차와 다르게 짤막한 앞부분때문에 혹시 다른데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 수 있습니다.

아쉬운 기대와는 다르게, 보통의 승용차의 본넷개폐 레버가 있는 위치에 그대로 있습니다. 살짝 당겨주면 텅 소리가 나면서,

봉고3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 트럭 워셔액주입구_2

앞부분이 살짝 열려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가운데 틈 부분에 손을 넣어 다시 한 번 레버를 당겨주면 본넷(?)을 올릴 수 있습니다.

봉고3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 트럭 워셔액주입구_3

여느 회사차가 다 그렇죠. 상당히 지저분하면서, 출고 당시의 워셔액이 살짝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 뚜껑 열고 꼭 손 씻어야겠네요..

봉고3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 트럭 워셔액주입구_4

봉고3 워셔액통은 일반 승용차 대비 상당히 작은 것 같습니다. 완전 앵꼬 수준의 잔량임에도 1.8L 워셔액 한 통으로 가득 차는 것 같습니다.

봉고3 워셔액 관련 주의사항

개인적으로는 처음 봉고3에 워셔액을 넣어 봤는데요. 일반적인 승용차와 크게 다를 것 없어 간단한 일이었습니다.

단, 보통 승용차에는 한 통 정도 다 들어가는 반면, 트럭은 남아있는 워셔액이 바닥 수준이 아니라면 상당히 남을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굳이 넘치게 주입하기 보다 남았다면 운전석 뒷 공간에 보관 후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치며

이 글을 통해 기아 봉고3 트럭 워셔액 보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봤습니다. 현대 포터 같은 방식일 것 같아 트럭 워셔액은 이 방식대로 주입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고보니 최소한의 내부 청소는 좀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티슈라도 들고 닦으러 가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