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실수령액 연봉 최저시급 월급실수령액

2025년 실수령액 연봉 최저시급 월급실수령액에 관한 글입니다.

2025년의 최저시급은 처음으로 1만원이 되었습니다. 올해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12,036원입니다.

실수령액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등을 공제 후 받게 되니, 금액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2025년 실수령액

2025년 실수령액이 얼마일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월급 실수령액

시급 10,030원으로 월급은 209시간으로 계산되면 2,096,270원(세전)입니다.

(월 환산기준으로 1주 소정근로 40시간, 주당 유급주휴 8시간 포함입니다.)

일 8시간 5일 근무 기준 (비과세 없음)금액
최저 월급(세전)2,096,270원
국민연금94,330원
건강보험(장기요양 포함)83,930원
고용보험18,860원
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24,660원
실수령액1,874,490원

2025 연봉 실수령액

부양 가족 1인 기준으로 4대 보험, 소득세, 지방세를 제외한 실제 연봉실수령액입니다.

500단위로 계산해봤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연봉월 세전 급여(월)공제액(원)월 실수령액(원)
25002,083,333219,7001,863,633
30002,500,000280,2802,298,273
35002,916,667357,9602,569,587
40003,333,333444,8802,904,137
45003,750,000524,8503,225,150
50004,166,667630,8403,535,827
55004,583,333735,1903,848,143
60005,000,000839,2104,160,790
65005,416,667940,0704,476,597
70005,833,3331,044,0504,728,757

재테크 팁

예산 관리

  • 소득과 지출 파악: 월급의 50%는 필수 지출, 30%는 선택적 지출, 20%는 저축 및 투자에 할당하는 50/30/20 규칙을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 지출 기록: 매일의 지출을 기록하여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축 및 투자

  • 비상금 마련: 최소 3~6개월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저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적 저축: 월급이 들어오는 즉시 정해진 금액을 저축 계좌로 자동 이체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시작: 주식, ETF, 펀드 등 다양한 투자 상품에 소액으로라도 투자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ETF는 분산 투자에 유리합니다.

금융 상품 활용

  • 적금 및 정기예금: 안정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적금이나 정기예금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주식 및 펀드 투자: 장기적인 투자로 주식이나 펀드에 투자하여 자산을 늘려 볼 수 있습니다.

재테크 교육

  • 재테크 관련 서적 및 강의: 재테크에 대한 지식을 쌓기 위해 관련 서적을 읽거나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치며

연봉, 월급이 높아지는 만큼 세금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돈은 쓰는 것은 쉽지만 버는 것은 정말 힘듭니다. 단순히 월급만 바라보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월급을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