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도약계좌 조건 변경내용 장점

2025년 청년도약계좌 조건 변경내용 장점에 관한 글입니다.

정부에서는 청년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가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청년의 자산 형성과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제도로 2025년의 변경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2025년 청년도약계좌 변경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납입한 금액에 대해 정부가 일정 금액을 추가로 매칭하여 지원하는 자산 형성 상품으로 기여금 지원 기준이 크게 완화되면서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항목기준변경 내용
연소득 기준4,800만원 이하소득 구분 없이 모든 가입자
월 납입 한도최대 70만원변동 없음
기여금 지원소득 구간별 매칭 한도까지만 지급월 납입액 전액 적용

예를 들어,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의 청년이 기존에는 월 70만 원을 납입해도 매칭 한도인 40만 원까지만 기여금을 받을 수 있어 2만 4000원까지만 받을 수 있었다면, 이제는 전체 금액에 대해 기여금이 적용되어 월 3만 3,000원을 지원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 경우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기 만기 시 수령하는 금액이 최대 60만원까지 증가하게 되며, 일반 적금 상품으로 환산하면 연 최대 9.54%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청약도약계좌 조건

  • 나이 – 만 19세 ~ 34세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금융소득종합과세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청년도약계좌 장점

  • 납입 한도 최대로 활용 : 월 납입액을 70만 원으로 설정하면 기여금 혜택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 신용점수 향상 :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 신용점수가 5~10점 자동으로 상승합니다.
  • 부분 인출 서비스 : 내년 하반기부터 납입 원금의 40%까지 부분 인출이 가능합니다.
  • 중도 해지에도 혜택 :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 해지해도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의 60%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청년의 자산 형성, 금융적 안정을 위한 청년도약계좌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