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동지 동지풍습 동지음식 동지팥죽 애동지

2025 동지 동지풍습 동지음식 동지팥죽 애동지에 관한 글입니다.

‘동지’에 대해 다시 한번 자세히 알고 싶으시군요!

동지는 우리 전통 문화에서 매우 의미 있는 날입니다.

동지

동지가 무엇인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관련된 풍습들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동지란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는 보통 12월 21일이나 22일경에 해당합니다.

동지는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이르는 때로, 일년 중에서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입니다. 2025년 동지(冬至): 12월 22일 월요일입니다.

동지의 의미와 중요성

  • 태양의 부활: 동지는 밤이 가장 길지만, 이날을 기점으로 다시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곧 ‘태양이 부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예로부터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하는 날로 여겨져 왔습니다.
  • 작은설 (아세): 과거에는 동지를 ‘작은설’ 또는 ‘아세.’라고 부르며 설날처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9대 명절 중 하나였고 조선 시대에도 중요한 명절로 지냈습니다.

동지를 대표하는 음식

팥죽

  • 의미: 팥의  붉은색은 예로부터  악귀와 나쁜 기운을 쫓고 액운을 물리친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동짓날 팥죽을 쑤어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집안 곳곳(방, 부엌, 장독대, 헛간, 대문 등)에 뿌려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했습니다.
  • 새알심: 팥죽에는 주로 찹쌀가루로 만든 새알심(옹심이)을 넣어 먹습니다. 이 새알심은 둥글게 빚어 끓는 물에 익혀 팥죽에 넣는데, 동짓날 가족들이 나이 수대로 새알심을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의미로 비유되기도 합니다.
  • 만드는 법 (간략히): 팥을 푹 삶아서 체에 걸러 앙금을 내고, 여기에 쌀이나 새알심을 넣어 끓입니다. 팥의 떫은맛이 나는 사포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첫물은 버리고 다시 끓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애동지에 먹는 팥 시루떡

  • 의미: 동지가 음력 11월  초순에 드는 해를 애동지라고 부릅니다. 이때는 아이에게 좋지 않다고 여겨 팥죽을 쑤어 먹는 것을 피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 팥의 붉은 기운이 어린아이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 대체 음식: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을 이용한  팥 시루떡  등을 해 먹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팥고물 시루떡 역시 붉은 팥의 기운으로 액운을 막는다는 의미는 그대로 지닙니다.

팥죽 외에 동지에 함께하면 좋은 음식

  • 곶감: 동지에 곶감을 먹는 풍습도 있습니다. 곶감에는 비타민 A가 풍부하여 면역력 강화와 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겨울철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을 보충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 전약: 과거 왕실에서는 동짓날 전약이라는 전통 보양식을 즐겼습니다. 전약은 인삼, 꿀, 대추 등 여러 약재를 넣어 만든 음료 또는 죽 형태의 음식으로, 겨울철 원기 회복에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 제주도 감귤: 제주도 지역에서는 동지에 감귤을 나누어 먹기도 했습니다. 감귤은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추운 겨울철 감기 예방과 활력 증진에 좋습니다.

동지에 관련된 주요 풍습

동지는 단순한 절기를 넘어, 새해를 맞이하는 의미를 담은 다양한 풍습과 함께했습니다.

동지 팥죽

  • 가장 대표적인 풍습은 팥죽을 쑤어 먹는 것입니다. 팥의 붉은색이  악귀나 나쁜 기운을 쫓고 액운을 막는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팥죽은 보통 사당에 올려 제사를 지내고, 집안 곳곳(방, 장독대, 헛간, 대문 등)에 뿌려 가족의 무병장수와 안녕을 빌기도 했습니다.
  • 팥죽 속에는 새알심(옹심이)을 넣어 먹는데, 식구들의 나이 수대로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애동지

  • 동지가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라고 불렀습니다. 이때는 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아이에게 좋지 않다고 여겨 팥죽을 쑤어 먹지 않거나 피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대신 팥을 이용한  팥 시루떡  등을 해 먹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025년 동지(12월 22일)는 음력 11월 3일로, 애동지에 해당합니다.)

달력 선물 (동지책력)

  • 조선 시대에는 관상감(천문 관측 기관)에서 다음 해의 달력(책력)을 만들어 궁중에 헌납하고, 궁중에서는 이를 동지에 백관에게 나누어 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책력은 일상생활과 농사에 중요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도 의미가 큰 일이었습니다.

동지 부적

  • 동짓날 뱀 사 자를 거꾸로 붙인 부적을 대문이나 벽에 붙이면 악귀를 쫓는다는 믿음도 있었습니다.

동지 헌말

  • 옷을 만들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주변에서 옷을 마련하여 주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동지(冬至)’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 절기이며, 양력으로 언제쯤 찾아오나요?

A1: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글자 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일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입니다. 하지만 동지를 기점으로 다시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하여  ‘태양이 부활하는 날’ 또는 ‘작은설’이라고 불리며,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하는 중요한 날로 여겨져 왔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12월 21일이나 22일경에 해당합니다.

Q2: 동지에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풍습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A2: 동지에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풍습은 팥죽을 쑤어 먹는 것입니다.

예로부터 팥의 붉은색이  악귀나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액운을 막는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팥죽을 쑤어 사당에 올리고, 집안 곳곳에 뿌려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기도 했습니다. 팥죽에 넣는 새알심(옹심이)은 식구들의 나이 수대로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Q3: ‘애동지는 무엇이며, 2025년 동지는 애동지에 해당하나요?

A3: ‘애동지(兒冬至)’는 동지가 음력  11월 초순에 드는 해를 일컫는 말입니다.

애동지에는 아이에게 좋지 않다고 여겨 팥죽을 쑤어 먹는 것을 피하거나, 팥죽 대신 팥 시루떡 등을 해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네, 2025년 동지(양력 12월 22일)는 음력 11월 3일에 해당하므로, 애동지에 해당합니다.

마치며

동지는 밤이 가장 긴 날이 지나면 다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희망을 상징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2025년 동지에 팥죽이나 팥떡을 드시면서 가족들과 함께 따뜻한 겨울을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