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에는 일사병, 열사병, 냉방병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운 여름 종종 어지럽거나 호흡이 가빠지는 증상을 느낀 적이 있나요? 폭염에 활동을 하다가 갑자기 어지럽거나 숨이 잘 쉬어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 지 궁금하신가요?
그중 일사병과 열사병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일사병
일사병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 방법과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사병이란
고온의 환경 노출되어 심부 신체의 온도가 섭씨 37도에서 40도 사이로 상승하여, 적절한 심박출을 유지할 수 없으나 중추신경계의 이상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사병 원인
일사병의 원인은 고온의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 땀을 흘리면서 적절한 수액 보충이 원활하지 않거나 저농도의 용액으로 수액 손실을 보충하는 경우 혈액의 용적이 감소하게 되어 발병하게 됩니다.
증상
심박동이 빨라지고 극도로 위약해지며 어지럼증과 두통이 있으며 땀을 많이 흘립니다.
실신할 수 있으나 즉시 정상적인 정신 상태로 회복됩니다. 약간의 정신 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서늘하게 휴식한 지 30분 만에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온다. 오심, 구토, 복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는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구분 | 일사병 | 열사병 |
체온 | ≤40’c | >40’c |
상태 | -정상 -30분 이내로 완전히 화복되는 어지러움증과 약간의 정신혼란 | -비정상 -섬망, 발작, 의식소실, 경련, 어눌함 |
호흡 | 정상 또는 빠른 호흡 | 정신혼란과 동반된 느리거나 빠른 호흡 |
피부 | 땀으로 축축 | 건조 또는 땀으로 축축 |
그외 | 구역감 및 구토, 두통, 피로 | 구토와 설사, 급성 신부전, 심인성 쇼크, 간기능 부전 |
열로 생기는 응급질환
열로 생기는 응급질환은 열경련(heat cramp), 열실신(heat syncope), 열피로(heat exhaustion), 열사병(heat stroke) 가 있습니다.
열경련
열경련은 격한 운동을 하고난 후에 근육이 수축되면서 국소적인 통증과 근육경련이 생기는 경우이고,
열실신
열실신은 말초혈관이 확장하는 등의 이유로 생기는 일시적인 저혈압 때문에 생기는 증상이며,
열피로
열피로는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땀을 많이 흘리는데 수분을 제대로 보충하지 못하는 경우에 생기는 피로함이나 어지러움,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을 말합니다.
치료
일사병이라는 상태를 빠르게 인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즉시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서늘한 곳으로 이동시킨 뒤 젖은 수건이나 찬물을 통해 빠르게 체온을 냉각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옷이 두껍다면 벗기는 것이 좋고 불필요한 장비도 제거하여 몸을 편안하게 해주고 다리를 머리보다 높게 하여 바르게 눕게 합니다.
예방 방법 5가지
1.고온의 환경에 노출되기 전에 충분한 수액을 보충합니다.
2.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물을 충분히 마십니다.
3.너무 꽉 끼지 않는 적당한 옷을 입습니다.
4.무더운 여름철에는 아침 일찍 또는 저녁 늦게 운동을 합니다.
5.고온에 점진적으로 노출하면 신체가 적응을 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오랜 기간 있을 수 있게 됩니다.
마치며
더운 여름 휴식을 취하며 활동하는 게 중요합니다.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수분 섭취가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