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자격증 시험정보 취업률 수수료 난이도

해양공학기사

해양공학기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격입니다.

해양공학기사 자격은 해저토질의 탐사 및 수중 시설물의 설치 등 해양개발에 관련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해양공학기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습니다.

해양공학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해양환경관리법에 의해 해양환경감시원으로 활동할 수 있고,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원의 자격이 주어집니다.

 

 

자격증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응시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업무

① 해양공학기사는 해양공학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설계, 시공, 조사, 분석, 개발, 오염방제 등의 기술업무를 합니다.
  ② 구체적으로는, 방파제나 항구, 부두 등의 수상구조물이나 육지와 육지 사이를 잇는 대형도로 및 교량을 건설하고, 임해공업단지 등을 조성 및 개발하기 위해 토압을 산정하며,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추적하여 합리적인 설계 및 도면을 작성, 재료선택, 시공 등의 직무합니다.
  ③ 해양구조물이 내구성을 갖고 안전하게 건설하기 위해 이들 구조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류의 이동이나 에너지 등을 연구하고, 오염물이 확산되지 않고, 해안생태계가 파괴되지 않도록 해안 건설공사로 인한 생태계의 영향 등을 분석하여 공학적인 측면에서 설계를 계획합니다.

시험 정보

  • 응시 자격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관련학과 전공자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기사
· 산업기사 + 1년
· 기능사 + 3년
·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 대졸(졸업예정자)
· 3년제 전문대졸 + 1년
· 2년제 전문대졸 + 2년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 4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해양공학, 해양토목학, 해양산업공학, 해양환경학, 해양자원학, 해양개발학, 지구해양과학 등 관련학과를 전공하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수산공학 등의 수산관련학과, 생물학, 화학, 물리학, 지질학 등 순수과학 전공자들은 현장에서 실무경력을 2년 정도 쌓은 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 · 예술 · 디자인 · 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 · 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시험 자격 수수료

  • 필기 :  19400 원 / 실기 : 22600 원

시험 과목

구분시험 과목시험 방법
필기
시험
① 해양학개론
② 해양수리학
③ 해양구조공학
④ 측량학
⑤ 재료공학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시험
해양공학실무필답형(2시간 30분)

합격 기준

 ①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②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됩니다.

취업

(1) 취업
  ① 중공업, 건설, 전력, 정유, 항만토목회사, 해양 및 자원개발업체, 해양구조물 설계 및 건설업체, 대륙붕개발, 해저석유개발업체, 항만장비개발업체, 일반 토목건설 및 전력업체, 해양환경관련업체 등으로 취업이 가능합니다.
  ② 품질검사 전문기관 등에 진출하여 감리업무를 행할 수도 있습니다.

 

 

(2) 우대
  ① 자원 및 해양 관련 공공기관이나 기업체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할 수 있습니다.
  ②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해양공학기사 자격 시험에 관심이 있다면 자세한 정보를 알아본 뒤 시험에 응시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