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시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 신청방법 지원금에 관한 글입니다.
서울시는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 4, 5등급 경유차 저공해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외에도 각 지역은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조기폐차 보조금 지원 및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지원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대상 차량 소유자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서울시 노후경유차
2025년 서울시 노후경유차 지원 대상, 신청 방법, 혜택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 5등급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
노후 경유차를 조기에 폐차하면 차량 기준가액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폐차 기본 지원
조기폐차를 하면 차량 기준가액을 기준으로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4, 5등급 경유차 및 건설기계를 조기폐차하면 차량 기준가액을 근거로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기본 조기폐차 지원금은 차량가액을 기준으로 지급되며, 5등급 차량은 100%, 4등급 차량은 승용차 50%, 그 외 차량은 70% 지원됩니다.
구분 | 5등급 차량 지원율 | 4등급 차량 지원율 |
총중량 3.5톤 미만 (승용차, 화물차 등) | 승용차(5인승 이하): 100% / 그 외 70% | 승용차(5인승 이하): 50% / 그 외 70% |
총중량 3.5톤 이상 (도로용 3종, 지게차, 굴착기 포함) | 100% 지원 | 100% 지원 |
조기폐차 추가 지원
폐차 후 친환경 차량을 구매하면 추가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조기폐차 후 무공해차(전기, 수소) 또는 친환경차(휘발유, 가스, 하이브리드)를 구매하면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지원기준 |
총중량 3.5톤 미만 | 전기·수소·휘발유·가스·하이브리드 차량 신규 등록 시 차량 기준가액의 50% 추가 지원 |
총중량 3.5톤 이상 | 배출가스 1·2등급 차량 신규 등록 시 차량 기준가액의 200% 추가 지원 (중고차는 100%) |
추가 혜택
- 무공해차(전기·수소차) 구매 시 50만 원 정액 추가 지원됩니다.
- 배출가스 1·2등급 차량 신규 등록 시 차량 기준가액 200% 지원됩니다.
조기폐차 신청 방법
한국자동차환경협회(☎ 1577-7121)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지원
5등급 경유차에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하면 총 비용의 약 9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DPF 부착 보조금 기준
차종 | 총 비용(만원) | 보조금(만원) | 차주 부담금(만원) |
대형 화물차(25톤 이상) | 4,430 | 3,987 | 443 |
중형 화물차(5톤~15톤) | 4,064 | 3,658 | 406 |
소형 화물차(포터, 봉고3 등) | 2,711 | 2,440 | 271 |
SUV(싼타페, 투싼, 스포티지 등) | 2,813 | 2,461 | 352 |
매연저감장치 지원 대상
서울시에 등록된 5등급 경유차 /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른 저공해 조치 의무 차량 /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업용 경유차를 대상으로 합니다.
매연저감장치 부착 신청 방법
한국자동차환경협회(☎ 1577-7121)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Q&A
Q. 조기폐차 신청 후 보조금 지급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A. 신청 후 약 2~3개월 소요됩니다.
Q. 폐차 후 무공해차를 구매하지 않으면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없나요?
A. 네, 친환경 차량 구매 시 추가 지원 가능합니다.
마치며
2025년 서울시에서는 경유차 저공해사업으로 조기폐차, 매연저감장치 부착, 무공해 차량 구매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니 해당 차량을 운행 중이라면 신청 후 지원금, 보조금을 받으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