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 증상 온열질환종류 예방방법 응급조치에 관한 글입니다.
최근 뉴스에 온열질환으로 쓰러지거나 병원에 찾는 사람들이 작년보다 늘었다고 합니다.
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우리 몸이 체온 조절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발생하는 급성 질환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특히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주의해야 할 건강 문제입니다.
온열질환
온열질환의 종류, 증상, 그리고 예방 및 응급조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온열질환이란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을 말합니다.
우리 몸은 더위에 노출되면 땀을 흘려 체온을 조절하지만, 체온 조절 능력이 한계를 넘어서면 다양한 온열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열질환의 종류 및 증상
온열질환은 그 증상과 심각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열사병
- 가장 심각한 온열질환으로, 뜨거운 열기로 인해 우리 몸의 체온 조절 중추가 기능을 상실하여 발생합니다.
- 증상: 체온이 40℃ 이상까지 급격히 올라가고, 피부가 뜨겁고 건조해집니다. 심한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구토 외에도 이상 행동이나 환각 등의 증세를 보이며, 심해지면 의식을 잃거나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 특징: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자칫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으므로 즉시 119에 신고하고 응급조치를 해야 합니다.
일사병
- 더운 환경에 노출돼 땀을 많이 흘려 몸 안에 있던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져 발생합니다.
- 증상: 체온이 37~40℃ 사이로 올라가며, 땀을 과도하게 많이 흘리고, 피부가 차갑고 축축하며 창백해집니다.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등이 나타나며, 극심한 무력감과 피로를 호소합니다.
- 특징: 방치하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열경련
-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지면서 발생하는 근육 경련입니다. 주로 팔, 다리, 복부 등 근육에 통증을 동반한 경련이 나타납니다.
열실신
- 체온 상승으로 혈관이 확장되어 뇌로 가는 혈액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어 발생하는 현기증이나 실신입니다.
열부종
- 더운 환경에 노출된 후 손, 발, 발목 등이 붓는 증상입니다.
온열질환 발생 시 응급조치 및 예방 수칙
온열질환은 예방이 중요하며, 증상 발생 시 신속한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응급조치 (환자 발생 시)
- 즉시 119 신고: 특히 열사병이 의심되면 지체 없이 119에 신고하여 의료진의 도움을 받습니다.
- 시원한 곳으로 이동: 환자를 즉시 그늘이나 에어컨이 있는 시원한 장소로 옮깁니다.
- 체온 낮추기: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거나 부채, 선풍기, 얼음주머니(목, 겨드랑이 밑, 서혜부에 대어 줌) 등으로 체온을 떨어뜨립니다.
- 수분 섭취: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시원한 물이나 이온 음료를 천천히 마시게 합니다.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는 물을 먹이지 않습니다. 기도로 물이 넘어가 질식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 휴식: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게 합니다.
예방 수칙 (물, 그늘, 휴식)
질병관리청에서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3대 수칙으로 ‘물, 그늘, 휴식’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물 충분히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스포츠 음료나 과일 주스를 마셔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 술이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합니다.
시원하게 지내기 (그늘)
-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야외 활동을 최소화합니다.
- 실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에어컨이 없는 경우 가까운 무더위 쉼터나 냉방 시설이 갖춰진 공공장소를 이용합니다.
- 헐렁하고 가벼운 옷을 입고, 외출 시에는 양산이나 모자를 착용하여 햇볕을 가립니다.
규칙적인 휴식
- 무리한 야외 활동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몸의 피로를 풀어줍니다.
- 특히 야외 작업자는 10~15분 이상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무더운 시간대(14~17시)에는 옥외 작업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주변 사람 살피기
- 어린이, 노인, 만성 질환자 등 폭염에 취약한 사람들은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이들의 건강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도움을 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온열질환은 왜 발생하며, 어떤 종류가 있나요?
A1: 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우리 몸의 체온 조절 기능이 한계를 넘어서면서 발생합니다. 체온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신체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죠.
주요 종류로는 가장 심각한 열사병(체온 40℃ 이상, 의식 장애 동반),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지는 일사병(열탈진), 근육 경련이 나타나는 열경련, 일시적인 현기증이나 실신을 동반하는 열실신, 그리고 손발이 붓는 열부종 등이 있습니다.
Q2: 온열질환 환자를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응급조치는 무엇인가요?
A2: 온열질환 환자를 발견하면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하고, 동시에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거나 부채, 선풍기, 얼음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체온을 빠르게 낮춰야 합니다.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시원한 물이나 이온 음료를 마시게 하지만,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물을 먹이지 않아야 합니다.
Q3: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3가지 수칙은 무엇인가요?
A3: 질병관리청에서 강조하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3가지 수칙은 ‘물, 그늘, 휴식’입니다.
- 물 충분히 마시기: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 시원하게 지내기 (그늘):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실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거나 무더위 쉼터를 이용하는 등 시원하게 지내야 합니다.
- 규칙적인 휴식: 무리한 야외 활동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몸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온열질환은 예방 가능한 질환이므로, 위 수칙들을 철저히 지켜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