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환승 조건 방법 혜택 장단점에 관한 글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기간이 돌아오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할 때 그에 따른 장점과 단점이 궁금하신가요?
신규로 나온 정책과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했을 때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환승
청년도약계좌 환승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환승
청년 도약계좌는 5년(60개월)을 가입기간으로 중도해지가 가능합니다.
환승은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18개월을 일시 납입하고 나머지 17개월은 예금 형태로 둔 뒤 이후 19개월부터는 월 최대 70만원을 납입하여 총 60개월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환승 혜택
환승시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청년희망적금시 받은 1260만원을 일시납입을 한 뒤 19개월부터 월 70만원을 납입하면 약 859만원의 이자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로 수령할 수 있는 총 금액은 약 5,056만원으로 일반은행상품보다는 약 두 배의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환승 조건
환승을 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환승은 만 19세 이상 34세 미만이며 병역의무를 이행한 만큼의 개월 수를 고려하여 환승이 가능합니다.
- 총 급여가 7500만원 이하, 중위소득 180%이하일 경우 해당됩니다.
환승방법
- 지정된 기간에 해당하는 일자에 환승이 가능합니다.
- 은행앱을 통해 가입신청을 할 수 있고, 서민금융진흥원 안내문을 받은 후 일시납입을 신청 및 만기해지를 진행하면 됩니다.
장점
환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자가 높아 장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단점
5년의 기 기간 동안 예금을 묶어야 한다는 것은 큰 단점입니다.
중도 해지 시에는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마치며
환승은 원하는 방향으로 따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여윳돈이 많다면 어렵지 않겠지만 청년들이 월 최대 70만원을 저축한다는 건 쉽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본 뒤 환승이나 만기를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