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장마기간 언제일까 장마시작날짜에 관한 글입니다.
2025년 장마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장마지만,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강수량도 늘고 장마 기간도 늘어나는 건 매년 실감이 납니다. 장마가 오기 전 미리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주택의 수리할 부분이나 하수구 등을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붕의 누수 부분이나 하수구의 나뭇가지나 쓰레기를 미리 처리해 막힘이 없게 준비를 해 놔야 물 넘침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낮은 지대의 주택이나 상가의 경우에는 물막이판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작년에 비가 많이 온 지역에서 물막이판을 활용하여 피해를 피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단단히 준비를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025년 장마기간
2025년 장마기간, 장마 시기, 지역별 강수량, 그리고 장마철 대비 요령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5년 장마
장마는 매년 6월 중순에서 7월 말까지 지속되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올해 장마도 작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매년 강수량의 양의 차이는 있고, 기간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장마 예상 일정
- 중부지방: 2025년 6월 24일 ~ 7월 26일 (약 31일)
- 남부지방: 2025년 6월 23일 ~ 7월 24일 (약 32일)
- 제주도: 2025년 6월 19일 ~ 7월 20일 (약 32일)
(장마의 실제 시작과 종료일은 기상 조건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지역별 장마 일정
중부지방 평년 장마 정보
- 장마 시작일: 6월 25일
- 장마 종료일: 7월 26일
- 평균 강수일수: 17.7일
- 평균 강수량: 378.3mm
- 포함 지역: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권
남부지방 평년 장마 정보
- 장마 시작일: 6월 23일
- 장마 종료일: 7월 24일
- 평균 강수일수: 17.0일
- 평균 강수량: 341.1mm
- 포함 지역: 전라도, 경상도, 부산, 울산, 포항
제주도 평년 장마 정보
- 장마 시작일: 6월 19일
- 장마 종료일: 7월 20일
- 평균 강수일수: 17.5일
- 평균 강수량: 348.7mm
- 포함 지역: 제주시, 서귀포시
장마철 주의사항
장마철에는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지난해에도 예상보다 강한 비로 낮은 지역과 개인, 소상공인들의 침수 피해가 컸습니다.
- 침수 피해: 반지하, 지하주차장, 저지대 지역
- 산사태: 급경사지 및 산악 지역
- 교통사고: 빗길 미끄러짐 사고
- 정전: 강풍과 낙뢰로 인한 전력 공급 중단
장마철 대비방법
장마는 사전 대비를 통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쓰레기 배출 줄이기
- 폭우 시 하수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침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나 재활용 쓰레기가 하수구를 막으면 빗물이 배수되지 않아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비 오는 날은 쓰레기 배출을 가급적 피하고, 배출 시에는 단단히 묶어 배수로 주변에 두지 않도록 합니다.
하수구 점검하기
- 반지하, 지하주차장, 지하상가 같은 곳은 장마철에 취약한 지역입니다. 이런 곳에서는 하수구와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필요하면 정비해야 합니다.
- 빗물이 고이는 곳 주변의 배수관 청소는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역류 방지 댐퍼를 설치하면 하수 역류로 인한 침수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하수구 덮개를 열어 낙엽, 흙, 쓰레기가 쌓여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지하 주차장 출입구에는 방수벽이나 방수문을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집중호우 시 위험한 지역 피하기
- 갑자기 물이 불어나는 하천, 계곡, 산사태 위험 지역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산사태 위험 지역은 폭우가 그친 뒤에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 하천 제방, 교량 아래, 저지대 도로는 침수 위험이 높으니 접근을 피해야 합니다.
- 산사태 위험 지역에서는 갑자기 발생하는 지반 붕괴에 주의해야 합니다.
-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등산, 계곡 탐방은 자제해야 합니다.
- 터널, 지하차도는 침수되기 쉬운 구간이므로 우회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비상 대피 준비
- 장마철에는 언제 어디서든 긴급 대피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사전 준비를 통해 위급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준비물 – 손전등과 예비 배터리, 생수, 비상식량, 구급약품, 휴대용 충전기, 개인 위생용품, 신분증, 현금
비상 대피
- 가족과 함께 대피소 위치를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 비상 상황 발생 시 연락 방법과 모일 장소를 사전에 숙지해야 합니다.
- 대피 경로는 최소 2곳 이상 확보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장마를 앞두고, 대비를 단단히 하여 피해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장마 날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