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생산관리기사 자격증 기출문제 학원 공부방법

어업생산관리기사

어업생산관리기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자격입니다.

2008년 어로기사와 해양생산관리기사가 어업생산관리기사로 통합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어업생산관리기사 자격은 어로사업의 기계화, 전문화 추세에 따라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어업생산관리기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습니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응시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업무

① 어업생산관리기사는 수산생물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하여 자원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어장환경의 특성을 분석하고 어장 환경조건의 변화에 대응하는 제 요인들을 조사 · 분석하여 어장의 환경변화를 규명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② 어로 작업에 직접 적용하여 어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각종 어업기기의 조작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직무를 담당합니다.

시험 정보

  • 응시 자격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관련학과 전공자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대졸(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 2년제 전문대졸 + 2년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실무경력 4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어업학과, 어업공학과, 해양생물학과, 수산개발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중 환경

시험 자격 수수료

  • 필기 :  19400 원 / 실기 : 25000 원

시험 과목

구분시험 과목시험 방법
필기
시험
① 어구학
② 어법학
③ 수산자원학 및 어업관리학
④ 어업어장정보론
⑤ 해양수산법규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시험
해양생산 및 자원관리 실무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작업형(2시간 정도)]

합격 기준

 ①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②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됩니다.

취업

1) 취업
  ① 연근해 및 원양어업, 수산협동조합, 수산회사, 어망 및 선수품 회사, 수산물 가공업체, 식품가공업체, 통조림제조업체, 냉동냉장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② 수산단체 등에 진출하여 수산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어업생산관리기사 자격 시험에 관심이 있다면 자세한 정보를 알아본 뒤 시험에 응시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