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

개별주택공시지가

개별주택공시지가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 궁금하신가요?

는만큼 보이고, 겪은만큼 알아가는 것 같습니다. 부동산 문제로 떠들썩했던 최근의 경향은, 근래의 저에게는 큰 의미가 없었습니다.

 

오래된 주택에서 살면서, 무언가 하나씩 고장나고 문제가 생기면 해결해 나가고 처리해가며 살았지만 한계를 느끼게 됐고, 좋은 기회에 아파트 청약이 당첨돼 3년 정도만 더 지내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계약금을 처리하는 과정부터 여유가 넘치지는 않았지만 내 집 마련이 쉬우면 문제가 될 것도 없겠죠.

 

 

겪은만큼 알아가는 것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큰 관심이 없던 부동산 (반강제적으로) 관련 뉴스를 보게 되었고, 하나 둘 씩 찾아보다 보니 조금은 알아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당연히 아직도 갈 길은 멀지만 말입니다.

오늘은 주택 공시지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는데요. 몇 년 전부터 재미삼아 제가 사는 집(단독주택)의 공시가격은 확인해 보긴 했는데, 공동주택(아파트/본가)도 한 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1

공시지가 조회 등의 텍스트로 검색하면,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가 검색되는데요. 링크를 통해 바로갈 수도 있습니다. (바로가기)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2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공기사격 알리미에 접속하면, 약간은 클래식한 UI로 디자인된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어짜피 공시가격만 확인하고 나갈것이므로 상관은 없습니다.

개별단독주택 가격 열람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3

단독주택부터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개별단독주택의 경우 링크만 제공하고 열람자체는 해당 시/군/구청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4

지역과 지번/도로명 주소를 입력해 검색을 눌러주면,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5

개별주택의 주소, 대지면적, 건물연면적, 개별주택 공시가격이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집의 역사로 봐도 될까요. 개인적으로는 공시가격이 높아서 좋을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공동주택 가격 열람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6

개별단독주택 보다는 아파트(공동주택)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것 같습니다. 공동주택의 경우 별도의 페이지전환 없이 곧바로 조회가 가능한데요. 역시 시/도, 시/군/구, 도로명으로 선택한 후,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7

아파트 단지명과 동호수를 선택하고 열람하기를 눌러주도록 합니다.

개별주택공시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_8

본가의 경우 14년도 신축아파트라 그 때부터 기록이 돼 있네요. 가격상승의 폭 만으로도 제가 살고있는 집을 삼켜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허허.

마치며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를 통해 간단하게 주택 공시지가를 확인해 봤습니다. 공시가격을 통해 종부세(조금 먼 이야기)나 재산세 등이 계산되므로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는데요. 겪은만큼 알게되는 것 같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역시 큰 관계는 없어 다행이긴 합니다.)

사실, 규제지역이 아닌 지방 소도시에서의 공시지가를 따져보는 것이 큰 의미는 없을 수 있겠지만, 아는만큼 보이기도 하겠죠? 하나씩 알아가다보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