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

일반적인 제조업체에서 1톤 탑차는 필수 운송수단입니다. 회사에 트럭이 두 대 있는데, 한 대는 2011년식 탑차, 다른 한 대는 비교적 최근인 2018년 구입한 일반 트럭입니다.

제품이나 화물을 주로 싣는 차량임에도 블랙박스 설치는 필수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장착된 블랙박스는 낮은 해상도(HD)에 끈적거림 등으로 인해 더 이상 사용이 어려울 것 같아, 저렴한 블랙박스 교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탑차 블랙박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

상태는 이래보여도 탑차 블랙박스 자체로의 기능은 어느정도 할 수 있지만, 저렴한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2

탑차 특성상 후방카메라 설치가 어려워 1채널 구매를 생각했지만, 가격적인 면을 생각해보면 그것이 그것 같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리드아이 블랙박스는 가성비가 있어 선택해 봤습니다.

리드아이 Y2 블랙박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3

2년 무상 보증이 가능한 제품이라고 하는데, 제가 설치한 날짜 기준으로는 2년이 넘었겠네요. 큰 문제는 일으키지 않고 있으며, 이외에도 K2, K4, Y2 등 가성비모델이 괜찮은 것 같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4

특별할 것 없는 심플한 디자인과, 역시 심플한 후방카메라입니다. 전원케이블이나 후방카메라 케이블, 거치대 등도 제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기존 제품 탈거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5

앞유리에 붙어있던 블랙박스를 탈거하는 사진을 서두에 올리는 바람에 바로 다음으로 이어집니다. 리무버를 이용해 블랙박스 거치대와 테이프를 떼 주고, 남은 테이프는 최대한 손으로 제거해 준 뒤, 테이프 제거제를 활용해 말끔하게 떼 줬습니다.

테이프 제거제는 유리에 흘러내릴 수 있으니 화장지로 받쳐놓고, 살짝 뿌려 5~10초정도 불려준 뒤 닦아주면 깔끔하게 없어집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6

운전석 A필러는 굳이 탈거하지 않아도 기존 배선을 슥슥 뽑아낼 수 있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7

 

 

고무패킹을 살짝 떼 주고, 대시보드 좌측 부분도 열어 줍니다. 접지해 놓은 부분도 보이네요.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8

퓨즈박스도 열어, 기존에 연결해 둔 배선도 제거해 줍니다. 상시녹화케이블이 없어 주행중에만 녹화가 가능하게 설치했었고, 12V 제품이라면 시거잭을 잘라 내 연결해도 됐던 것 같습니다. 5V제품에는 큰일나요.

블랙박스 설치

제품 장착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9

거치대를 본체와 연결 해 줍니다. 딸깍 소리가 날 정도로 정확하게 장착해줘야 운행 중 블랙박스가 떨어지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겠죠.

배선 연결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0

리드아이 Y2 블랙박스의 거치대는 상하 각도조절은 가능하나, 좌우조절은 되지 않기에, 위치를 잘 잡아 설치하는 편이 좋습니다. 물론 요즘 블랙박스들은 화각이 넓어 한쪽으로 치우친다 해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제 차의 경우에도 조수석쪽으로 치우쳐 설치했었습니다.

그렇기에 별로 고민하지 않고, 최대한 기존 블랙박스가 붙어있는 위치에 곧바로 붙여줬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1

배선을 원래 설치했던 대로 유리와 천장 사이 틈에 밀어넣어 준 뒤 A필러쪽으로 빼 주면 80퍼센트는 끝이 납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2

전원선의 끝단은 상시녹화를 위해 배선이 총 3가닥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검정선은 당연히 그라운드접지를 위한 선입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3

 

 

보통의 블랙박스 배선과 반대인 거 같기도 합니다. 선 색깔로 판단하지 말고, 선에 붙어있는 혹은 매뉴얼에 쓰여있는 대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 제품의 경우 빨간선이 BAT (B+), 노란선이 ACC입니다.

퓨즈 연결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4

현대기아차들은 친절하게 퓨즈박스 커버 안쪽에 퓨즈배선도가 그려져 있습니다. 사실 다른 제조사 차량은 DIY해 본 적이 없어 모르겠네요.

ACC는 시동이 걸렸을 때 전기가 들어오는 퓨즈에 감아줘야합니다. 저는 시가라이터 15A에 ACC를 물려줬습니다.

BAT는 시동이 걸리지 않았어도 전기가 들어오는 퓨즈에 감아줍니다. 대부분 알고 계시는 비상등(비상깜박이) 15A에 연결했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5

접지는 기존 그대로 접지했으며, 이왕이면 볼트가 닿는 부분이 플라스틱이 아닌 철판부분에 해야합니다. 플라스틱 부분에 접지했더니 라디오가 지지직 하는 현상을 겪었었는데요, 철판으로 옮겨주니 멀쩡해졌던 기억이 납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6

배선 정리 전, 시동을 켜고 테스트를 하기위해 전원을 켰습니다. 이상없이 잘 구동되었으며 상시전원도 제대로 설치한 것 같습니다.

가성비 제품인데,, 리드아이 K4보다 안내음성이나 경보음 등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7

퓨즈박스 좌측의 공간에 상시케이블 전원선을 잘 숨겨두고 커버를 닫아줍니다. 화물차의 숙명이라 달그락 거리는 소리는 크게 개의치 않겠지만, 그래도 퓨즈끼리 케이블타이로 묶어는 줬습니다.

후방카메라 장착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8

후방카메라의 경우 뒷 유리에 설치를 해 봤자 무용지물입니다. 전방카메라를 설치한 지점에서 살짝 왼쪽에 설치를 해 줬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19

보통의 후방카메라 배선은 엄청 길기때문에 (6미터쯤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잘라서 연결을 해 주어야 합니다. 그 두꺼운 배선뭉치를 숨길 공간이 없습니다..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20

2가닥의 배선이지만, 자잘한 배선들도 뭉쳐서 연결해 줍니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영상의 노이즈와 관련되었을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다시 유리와 천장내장재 사이에 쓱쓱 쑤셔넣어주고 설치를 마무리 했습니다.

마치며

기아 봉고3 탑차 블랙박스 설치방법_21

리드아이 Y2를 단순히 가성비 하나만 보고 선택했으며, 의도에 부합된 괜찮은 제품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설치 후 시운전을 잠깐 하는 동안 녹화의 오류도 없었고 충격알림도 제대로 왔습니다.

​고급형 제품에 비해 당연히 아쉬운 점도 있겠지만, 10만원 미만의 가격 하나로 다 상쇄되는 것 같습니다. 전방 FHD, 후방 HD화질인 것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전방카메라 렌즈의 비닐을 떼지 않아 화질에 아쉬움을 느낀 다소 모자라보이는 행동을 하긴 했지만! 비닐을 벗기고 확인한 영상화질은 괜찮네요.